선교사 목록으로 돌아가기
캐나다
1888년 도착
제임스 게일
James Scarth Gale
1863 - 1937
제임스 게일
활동 지역: 서울, 원산
역할: 선교사, 한국학자

약력

제임스 스카스 게일은 1863년 2월 19일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태어났습니다. 토론토대학교를 졸업한 후, 1888년 YMCA 소속 선교사로 한국에 파견되었습니다. 그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 연구에 평생을 바쳤으며, 특히 한국어 연구와 문학 번역에 큰 업적을 남겼습니다. 1897년 '한영사전'을 출판했으며, 이후 개정판을 통해 한국어 연구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한글 성경 번역 작업에 참여했으며, '구운몽', '춘향전' 등 한국 고전문학을 영어로 번역하여 한국 문화를 서양에 소개했습니다. 그는 한국의 역사, 문화, 종교에 관한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1937년 1월 31일 캐나다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주요 업적

  • 한영사전 출판 (1897): 1897년 '한영사전'을 출판하여 한국어 연구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 성경 번역 (1900): 한글 성경 번역 작업에 참여하여 한국어 성경 보급에 기여했습니다.
  • 한국 문학 번역 (1913): '구운몽', '춘향전' 등 한국 고전문학을 영어로 번역하여 한국 문화를 서양에 소개했습니다.

소속 단체

YMCA
성서번역위원회
가족 관계
  • 아다 세일즈 게일
    아내

    남편의 한국어 연구와 번역 작업을 도왔으며, 한국 여성들을 위한 교육 활동에 참여했습니다.

참고 문헌
  • Gale, J. S. (1898). Korean Sketches. Fleming H. Revell Company.
  • 이만열. (2003).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 민경배. (1991).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888
문화
제임스 게일 도착

캐나다 선교사 제임스 게일이 한국에 도착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1892
종교
한글 성경 번역 위원회 설립

언더우드, 게일, 아펜젤러 등이 참여하는 한글 성경 번역 위원회가 설립되었습니다.

1897
문화
게일의 한영사전 출판

제임스 게일이 한영사전을 출판했습니다.

1898
문화
게일의 '한국 스케치' 출판

제임스 게일이 '한국 스케치(Korean Sketches)'를 출판하여 서양에 한국 문화를 소개했습니다.

1900
종교
한글 성경 신약 완역

언더우드, 게일, 아펜젤러 등이 참여한 한글 성경 번역 위원회가 신약성경 번역을 완료했습니다.

1906
종교
한글 성경 구약 번역 시작

한글 성경 번역 위원회가 구약성경 번역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1912
종교
한글 성경 구약 완역

한글 성경 번역 위원회가 구약성경 번역을 완료하여 완전한 한글 성경이 출판되었습니다.

1913
문화
게일의 한국 문학 번역

제임스 게일이 '구운몽', '춘향전' 등 한국 고전문학을 영어로 번역했습니다.

1937
문화
제임스 게일 사망

한국어 연구와 한국 문화 소개에 큰 업적을 남긴 제임스 게일이 캐나다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관련 선교사

호러스 알렌
호러스 알렌
Horace Newton Allen
활동 시기: 1884

한국에 온 최초의 개신교 의료선교사로, 근대 의료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호러스 언더우드
호러스 언더우드
Horace Grant Underwood
활동 시기: 1885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중 한 명으로,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를 설립했습니다.

헨리 아펜젤러
헨리 아펜젤러
Henry Gerhard Appenzeller
활동 시기: 1885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중 한 명으로, 배재학당을 설립하고 교육 사업에 힘썼습니다.